은행 앱마다 메뉴 항목이 다르다 보니 단순한 기능도 찾아 헤맬 때가 많아요. 오늘은 하나은행 이체한도 변경 방법, 1일 1회 송금한도 확인, 모바일 OTP 및 스마트 OTP 계좌이체 한도 확인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물론 이체한도는 개인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본인 계좌의 이체한도는 직접 확인하셔야 합니다.
하나은행 이체한도 변경 방법
KEB 외환은행과 하나은행이 합쳐져서 한동안 KEB하나은행이라고 부르더니 이제 이름이 하나은행으로 다시 바뀌었나 봐요. 어쨌든 하나은행 계좌 이체한도 알아봅니다.
하나은행 앱 > 메뉴
하나은행 앱 오른쪽 하단의 [메뉴] 아이콘을 눌러줍니다.
My하나
앱 상단의 [My하나]를 눌러줍니다.
뱅킹관리 > 이체한도
아래로 내려가면 뱅킹관리 > 이체한도 항목이 나옵니다. 예전에는 이체한도 확인 및 변경 화면 자체를 찾아서 들어가는게 어려웠는데 이제는 찾기 쉽게 되었네요.
이체한도 변경을 하려면 이체한도 옆에 있는 화살표 아이콘을 눌러 들어갑니다.
이체한도 변경
1일 이체한도금액과 1회 이체한도금액이 나옵니다. 이 금액은 절대 금액이 아니라 개인별로 다르니 참고하세요. 하나은행 이체한도 변경을 하고 싶다면 금액을 입력 후 하단의 다음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체한도를 증액할 경우에는 비대면 실명인증을 해야 해서 신분증이 필요합니다. 모바일 OPT를 발급받아 이체한도를 늘릴 수도 있고요.
혹시라도 비대면 계좌이거나 신규 발급 받은 계좌로 한도제한이 걸려 있는 계좌라면 이체한도 변경 신청을 해도 적용이 되지 않을 수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하나은행 보안매체별 이체한도
보안매체별 이체한도를 이렇게 한눈에 볼 수도 있습니다. OTP (스마트OTP), 모바일 OTP, 자물쇠카드 등 보안매체별로 한도가 달라요.
보안매체 | 1일 | 1회 |
OTP (스마트OTP) | 5억원 | 1억원 |
모바일OTP | 5천만원 | 1천만원 |
자물쇠카드 | 1천만원 | 1천만원 |
모바일 OTP는 은행 지점에 방문하지 않고 휴대폰으로 발급이 가능한데, 일반 OTP (스마트 OTP)의 경우에는 지점에 방문해서 발급받아야 합니다.
부동산 매매, 임대, 전세 잔금 납부 등 평소보다 큰 금액의 계좌이체 계획이 있으실 경우, 미리 은행 지점 방문하셔서 이체한도 변경해두시길 권장합니다.
♤
이사 후 주소 변경 하는 방법 – 은행 통신사 보험 등 한번에 바꾸기
모든 정보는 내용의 정확성 및 신뢰성이 보증되지 않으며 전문가의 의견이나 권고를 대체할 수 없으므로, 개인의 책임 및 판단에 따라 참고 목적으로만 사용되어야 합니다 (상세 고지 참조) | 제품/브랜드 관련 모든 글 내돈내산 (협찬 X)
2023.07.22. 도토리인디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