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복령 효능, 동의보감에서 말하는 백복령의 작용, 계지복령환과 백복령산등 한약 처방 재료 및 효과, 백복령의 염증성 신상 손상 기능에 비치는 영향에 대한 논문 등의 자료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다만 항상 이런 자료는 참고로만 하셔야 한다는 점 기억하세요.
백복령 특징 및 효능
백복령
- 백복령 = 흰솔풍령
- 베어 낸 지 여러 해 지난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여 혹처럼 크게 자라는 균핵을 말린 것
- 겉은 소나무 껍질처럼 거칠지만, 속은 흰색(백복령)이나 분홍색(적복령)
- 맛은 달고 심심. 성질은 평(平)하여 보(補)하는 작용.

백복령 효능
- 강장제로 사용, 폐경, 비경, 심경, 신경, 방광경에 작용해 비장을 보하고 가래를 삭이며 정신 안정시킴.
- 이뇨 작용, 혈당 감소(항당뇨) 작용, 진정 작용, 면역 부활 작용, 억균 작용, 장관 이완 작용, 궤양 예방, 심장 수축력 증가, 항종양(항암), 활성 산소 제거(항산화 작용), 염증 억제(항염증) 등
- 비장이 허하여 몸이 붓는 경우와 담음병에 사용
- 복수가 차는 것, 설사, 건망증, 수면장애 등에도 사용
- 위, 간, 이자, 신장 등 질병에 효과
- 질병을 앓고 난 후 허약한 사람이나 만성 위장병 환자 등의 치료
- 남녀 임독성 질병, 모든 성병, 부인병에도 효과
백복령 효능 관련 동의보감 내용
- <동의보감 내경편> – <탕액본초> “술에 담갔다가 주사와 함께 쓰면 정을 간직할 수 있음”
- <동의보감 내경편> – <인재직지> “심이 허약하여 몽설하는 것 치료”, “백복령을 곱게 가루내 4돈씩 미음으로 하루에 3번”
- <동의보감 내경편> – <세의득효방> “자한과 도한을 멎게 한다. 가루내어 오매와 묵은 쑥 달인 물로 두 돈씩 먹는다”
- <동의보감 외형편> – <증류본초> “기미와 참새 알의 색깔과 같이 까만 임산부의 여드름을 없앤다. 곱게 가루내어 꿀과 버무려 얼굴에 늘 바르면 좋다”
백복령 관련 한약 처방
계지복령환
- 계지(계피), 복령, 목단피, 도인, 작약
- 월경과다 및 무월경 등에 사용
- 계지복령환 투여로 60% 정도의 환자에서 자궁근종 감소, 월경과다 및 무월경 증상 90% 이상 호전 (자세한 내용 참고 링크)
백복령산
- 숙지황, 당귀, 백작약, 천궁, 인삼, 백복령, 황기, 육계
- 산후에 오슬오슬 춥고 열이 나며 팔다리가 아픈 데 사용 (자세한 내용 참고 링크)
백복령 효능 관련 논문
<백복령 약침이 Lipopolysaccharide로 유도된 흰쥐의 염증성 신장(腎) 손상에 미치는 영향>
- 백복령약침을 흰쥐에 시술하고 lipopolysaccharide(LPS)로 염증성 신 손상 유발 후 백복령약침이 신장염 및 신장 기능 손상에 대한 영향 평가 > 유의미한 결과
- 백복령약침군이 LPS군에 비해 혈중 백혈구(WBC) 수, 백혈구 중 호중구(neutrophil) 비율, 혈청 혈액요소질소(BUN), 크레아티닌(creatinine), 종양괴사인자 알파(TNF-α), 사이토카인 유발 호중구 화학유인물질-1(CINC-1), 신장 미엘로페록시다제(renal MPO) 유의하게 감소, 이뇨 활성 유의하게 증가
- 백복령약침군이 식염수(saline)군에 비해 백혈구 중 호중구 비율, 혈청 크레아티닌 유의하게 감소, 이뇨활성 유의하게 증가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 백복령
동의대학교 부속한방병원 – 복령
[논문] 백복령 약침이 Lipopolysaccharide로 유도된 흰쥐의 염증성 신장(腎) 손상에 미치는 영향
모든 정보는 내용의 정확성 및 신뢰성이 보증되지 않으며 전문가의 의견이나 권고를 대체할 수 없으므로, 개인의 책임 및 판단에 따라 참고 목적으로만 사용되어야 합니다 (상세 고지 참조) | 제품/브랜드 관련 모든 글 내돈내산 (협찬 X)
2023.07.20. 도토리인디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