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주간 강도를 저강도, 중강도, 고강도로 달리한 유산소 운동 항산화 관련 논문 및 유도 선수 및 일반인의 탈진 운동 항산화 효소 활성도 및 과산화지질(산화 스트레스) 관련 논문 자료를 정리해 봅니다.
유산소 운동 항산화 관련 논문
참고 논문
운동강도에 따른 12주간 유산소성 운동이 지질 과산화물(MDA)과 항산화 효소(SOD)에 미치는 영향
엄우섭, 운동과학 13.3 pp.355-350 (2004) : 355.
논문 내용 발췌 요약
실험 개요
- 실험 목적: 12주간 운동 강도에 따른 유산소성 운동의 지질과산화물(MDA) 및 항산화 효소(SOD)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및 산화 스트레스 감소가 가능한 적정 운동 강도 파악
- 실험 대상: 일반 남자 대학생 30명
- 실험 시점: 안정 시, 운동 직후, 회복기 1시간
- 실험 방법: 12주간 유산소 운동 전후 운동부하검사
- 관찰 항목: 최대운동부하검사를 통한 최대산소섭취량(VO₂max), 안정시 및 최대 심박수
운동 강도 구분
구분 | VO₂max | 시간 |
저강도 | 50% | 20분 |
중강도 | 70% | 30분 |
고강도 | 85% | 40분 |
* VO₂max = 최대 산소 섭취량 (1분 당 산소 소비량) * 하루 기준, 12주간 주 3회 트레트밀 (런닝 머신) 운동 * 6주 후 체력 상승에 따라 운동 강도 재조정
실험 결과
- 지질 과산화물(MDA): 트레이닝 후 채혈시점별 유의한 차이, 트레이닝 전후와 채혈시점간 상호작용 효과 없음
- 항산화 효소(SOD): 트레이닝 후 채혈시점별 유의한 차이, 트레이닝 전후와 채혈시점간 상호작용 효과 있음
결론
- 운동이 세포 내 항산화 효소를 증가 > 지질 과산화 야기하는 정도의 트레이닝 예방 및 최소화
- 지질 과산화물(MDA): 중강도(70%HRR)에서 유의한 증가
- 항산화 효소(SOD): 저강도(50%HRR)에서 유의한 증가
- 20대의 일반 남성 기준 70% VO₂max 이하의 낮은 강도 운동이 산화적 손상 최소화 추정 (유산소 운동 및 장기간 유산소 트레이닝 시)
유도 선수 및 일반인 탈진 운동 관련 논문
참고 논문
유도선수에 있어 탈진운동이 항산화효소 활성도와 과산화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지용석, 한국체육학회지 1999년
논문 내용 발췌 요약
실험 개요
- 실험 대상: 유도선수와 일반인
- 실험 시점: 운동 전 60분, 운동 직후, 회복기 60분의 채혈 시점
- 실험 항목: 혈장 항산화 효소(SOD, CAT, GPX) 활동, MDA (과산화지질) 분석
- 실험 방법: 더 이상 못 할 정도의 탈진 운동 강도까지 트레드밀(런닝 머신) 점증운동부하검사
실험 결과
- 혈장 항산화 효소(SOD, CAT, GPX): 운동 직후 유도선수와 일반인 간 유의한 차이 있음, 전 및 회복기에는 유의한 차이 없음
- MDA (과산화지질): 운동 직후 유도선수와 일반인 간 유의한 차이, 운동 전 및 회복기에는 유의한 차이 없음
결론
- 운동 후 유도선수와 일반인의 혈장 항산화 효소(SOD, CAT, GPX) 및 MDA가 영향을 받음
- 운동 직후 유도선수의 혈장 항산화 효소(SOD, CAT, GPX) 및 MDA 수준이 일반인보다 유의한 증가
- 탈진 운동이 산화적 손상을 크게 하지만, 유도선수의 경우 산화적 손상의 영향이 일반인보다 적음 (규칙적인 훈련으로 인한 산화 방어 능력 향상 추정)
논문 링크
운동강도에 따른 12주간 유산소성 운동이 지질 과산화물(MDA)과 항산화 효소(SOD)에 미치는 영향 엄우섭, 운동과학 13.3 pp.355-350 (2004) : 355. 유도선수에 있어 탈진운동이 항산화효소 활성도와 과산화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지용석, 한국체육학회지 1999년
☆
차 항산화 효능, 녹차, 홍차, 마테차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모든 정보는 내용의 정확성 및 신뢰성이 보증되지 않으며 전문가의 의견이나 권고를 대체할 수 없으므로, 개인의 책임 및 판단에 따라 참고 목적으로만 사용되어야 합니다 (상세 고지 참조) | 제품/브랜드 관련 모든 글 내돈내산 (협찬 X)
2024.07.09. 도토리인디고